CS/Algorithm (52) 썸네일형 리스트형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43일차 [강의] 다음은 패스트 캠퍼스 알고리즘 / 기술면접 완전 정복 올인원 패키지를 통해 학습 및 정리한 내용입니다. 백준 1074번 문제 : Z 분할 정복으로 해결했다. r행과 c열의 규칙에 따라 4사분면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while문을 통해 각 분기별로 접근하여 해당 좌표에 맞는 값을 출력하였다. 이전에 풀었던 문제이지만 아직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 반복해서 풀어봐야겠다. 코딩 테스트 기타 팁 이어서 예외처리 팁에 대해서 강의가 진행되었다. 문제에 따라, 케이스에 따라서 다르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이 진행하는게 좋다고 한다. 그 첫 번째로 논리 연산자와 비트 연산자 활용에 대한 부분이다. 만약 if문에 조건이 4개 이하라면 논리 연산자를 통해 한번에 정리하는게 좋고, 비트 연산자는 크게 나올 일은 없으나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42일차 [강의] 다음은 패스트 캠퍼스 알고리즘 / 기술면접 완전 정복 올인원 패키지를 통해 학습 및 정리한 내용입니다. 어느덧 패스트 캠퍼스 챌린지 과제도 일주일 뒤면 마무리된다. 좋은 기회에 챌린지를 신청해서 강의를 들으며 하루에 한번 블로그에 학습 내용을 작성하고 있는데 공부 습관도 들이고 여러모로 큰 도움이 되었다. 무엇보다 강사님들께서 초심자 입장에서 친절히 강의를 해주셨기 때문에 어려움없이 챌린지를 진행하고 있다. 패스트 캠퍼스 챌린지는 원래 30일 챌린지였는데 지금은 50일 챌린지로 바뀌었다. 전보다 더 많은 의지가 필요할 수 있지만 환급 이벤트 등 공부를 해야만하는 상황이 오히려 도움이 될 수 있다. 혹시라도 기회가 생긴다면 꼭 한번 참가하길 바란다! 백준 17224번 문제 : APC는 왜 서브태스..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41일차 [강의] 다음은 패스트 캠퍼스 알고리즘 / 기술면접 완전 정복 올인원 패키지를 통해 학습 및 정리한 내용입니다. 오늘은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 코딩 테스트가 있었던 날이다. 문제 난이도는 패스트 캠퍼스 강의에서 중간 정도라고 하는 난이도와 비슷하게 느껴졌는데 무엇보다 시간 제한이 큰 난관이었다. 알고리즘 문제가 6문제, SQL 1문제, 웹 프로그래밍 1문제를 2시간 안에 풀어야했는데 시간이 촉박해서 대부분 풀지 못했다. 앞으로는 시간 제한을 두어 문제 풀이하는 것에 익숙해져야할 것 같다! 백준 1920번 문제 : 수 찾기 오랜만에 1920번 문제를 풀었는데 이진 탐색이 기억이 안나 잠깐 헤매었었다. 그래도 한번 구현했었던 알고리즘이라 익숙하게 문제를 풀이할 수 있었다. 강의에서는 딕셔너리 자료구조와 함께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40일차 [강의] 다음은 패스트 캠퍼스 알고리즘 / 기술면접 완전 정복 올인원 패키지를 통해 학습 및 정리한 내용입니다. 오늘은 간단한 문제 한 개와 함수 및 매개변수에 대해 알아보았다. 백준 17389번 문제 : 보너스 점수 성능은 같았지만 코드 길이에서 차이가 있었다. 강사님 풀이처럼 언패킹 등을 적절히 활용해서 코드를 짧게 구현해보자! 하지만 최적화를 할 땐 코드의 간소화도 좋지만 너무 짧게 작성할 경우에는 가독성이 오히려 나빠지는 경우가 있는 것 같다. 그래서 성능과 가독성에 대한 우선순위를 잘 고려해서 최적화를 진행하면 좋을 것 같다. 어느덧 실버 1에 올라왔다. 지금은 비교적 쉬운 문제를 풀고 있기 때문에 그래프가 완만하게 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지금 수준은 실버 2~4 정도라고 생각하고 그동..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39일차 [강의] 다음은 패스트 캠퍼스 알고리즘 / 기술면접 완전 정복 올인원 패키지를 통해 학습 및 정리한 내용입니다. 문제 풀이 비교 오늘은 간단히 수학 문제와 구현 문제를 풀이해보았다. 강사님의 풀이를 보기 전 먼저 풀어보고, 강사님 풀이와 비교했는데 확실히 성능이나 코드 길이에서 차이가 있었다. 개인적으로 풀이해보고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많이 배우고 있다. 코딩 테스트의 실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먼저 자기가 생각했던 것을 어떻게 해서든 구현해보라고 한다. 어느정도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면 추천하는 방법이지만, 어떻게 풀어야할지 모른다면 다른 분들께서 풀이하신 것들을 참고해서 구현을 어떻게 하는지, 문제를 어떻게 풀이하는 지 보는 것이 낫다. 그래서 일정 시간 동안 풀어보고 안된다면 적극 참고하자. 그리고..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38일차 [강의] 다음은 패스트 캠퍼스 알고리즘 / 기술면접 완전 정복 올인원 패키지를 통해 학습 및 정리한 내용입니다. 오늘 강의부터는 실전 코딩테스트 문제 풀이와 함께 기초 내용에 대해 강의가 진행된다. 코딩 테스트를 하면서 알고 있던 것도 잊어먹을 때가 간혹 있어 당황스러웠던 적도 있었는데 이번 기회에 하나 둘 씩 정리해보려고 한다. 앞으로 노션에 족보 형태로 유형별로, 알고리즘별로 정리를 진행할 예정이고 잊기 전에 꾸준히 복습할 계획이다. 단일 자료형(Single) integer - 수의 크기 제한이 없다. overflow 걱정을 줄일 수 있음 - str()로 쉬운 형 변환 - 연산 / 함수 사용 시, float로 변환되는 경우가 있어 /가 아닌 //로(또는 divmod 사용) float - 일단 연산에서..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37일차 [강의] 다음은 패스트 캠퍼스 알고리즘 / 기술면접 완전 정복 올인원 패키지를 통해 학습 및 정리한 내용입니다. 오늘 강의를 끝으로 유형별 문제풀이까지 강의를 끝마쳤다! 실전 코딩 테스트 문제 풀이와 기술 면접 가이드만 남았는데 이것도 한달정도면 끝마칠 것 같다. 강의가 끝나도 코딩테스트는 계속 준비할 예정이다. 알고리즘을 공부할 때마다 느끼는 것은 반복의 중요성이다. 코딩 테스트를 통해 알고리즘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사용할 것인지 고민할 수 있어 알고리즘을 공부한다면 코딩 테스트를 통해 계속해서 접목시켜보는 것을 추천한다. 백준 9663번 문제 : N - Queen 문제 해석 1. N-Queen 문제는 대표적인 백 트래킹 문제이다. 2. N X N 크기의 체스 보드 위에 퀸이 서로를 공격할 수 없게 배치..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36일차 [강의] 다음은 패스트 캠퍼스 알고리즘 / 기술면접 완전 정복 올인원 패키지를 통해 학습 및 정리한 내용입니다. 백준 2212번 문제 : 센서 문제 해석 1. 최대 K개의 집중국을 설치해야한다. 2. 집중국들의 수신 가능 영역의 길이 합을 최소화하는 것이 목표이다. 3. 정렬된 센서들의 위치와 간격을 리스트로 생성하고, 집중국의 수만큼 간격이 먼 곳부터 정리(설치)한다. 복기 1. 단순히 머리로만 생각해서 문제를 해석하고 풀이하는 것보다 문제의 상황과 조건을 도식화해보고 예제 데이터를 참고해서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었다. 2. 그동안 나의 스타일은 코드로 구현하면서 문제를 이해하고 보완하는 것이었는데 접근이 잘못될 경우가 있기 때문에 1번 방식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3. 최소 거리의 합.. 이전 1 2 3 4 5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