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Algorithm (52) 썸네일형 리스트형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4일차 [강의] 다음은 패스트 캠퍼스 알고리즘 / 기술면접 완전 정복 올인원 패키지를 통해 학습 및 정리한 내용입니다. 해쉬 테이블 해쉬 구조란 키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조이다. 이로 인해 키를 통해 바로 데이터를 받아올 수 있기 때문에 검색 속도가 빨라진다. 이러한 구조로 파이썬에서 딕셔너리 타입을 사용하고 있다. 알아둘 용어 해쉬 : 임의 값을 고정 길이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방대한 데이터를 고정된 값으로 바꾼다. 해쉬 테이블 : 키 값의 연산에 의해 직접 접근이 가능한 데이터 구조이다. 해싱 함수 : 키에 대해 산술 연살을 이용해 데이터의 위치를 찾을 수 있는 함수이다. 해쉬 값(해쉬 주소) : 해싱 함수의 결과 값이다. 슬롯 : 한 개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다. 기본적인 해쉬 테이블과 해..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3일차 [강의] 다음은 패스트 캠퍼스 알고리즘 / 기술면접 완전 정복 올인원 패키지를 통해 학습 및 정리한 내용입니다. 시간 복잡도 입력 n에 따라 결정되는 시간 복잡도 함수로 O(입력)에 대해 입력 n의 크기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시간 복잡도가 늘어날 수 있다. 계산하는 방법은 단순히 입력 n에 따라 몇번 실행이 되는지를 계산하면 된다. O(1)일 경우 무조건 상수회 실행하고, O(n)일 경우에는 n번(n + 10번 등) 실행하게 된다. O(n^2)의 경우에는 이중 for문 등 n^2 회 실행되기 때문에 n^2번 실행되는데 300*n^2+n+10번 실행된다고 하더라도 Big-O 표기법에서는 가장 큰 영향을 주는 n에 가장 높은 차수(n^2)에 따라 표현되기 때문에 상수는 무시되고 O(n^2)으로 표현하게 된다..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일차 [강의] 다음은 패스트 캠퍼스 알고리즘 / 기술면접 완전 정복 올인원 패키지를 통해 학습 및 정리한 내용입니다. 시간 복잡도 오늘은 시간 복잡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알고리즘에서 복잡도 계산이 필요한 이유는 문제를 풀 경우 필요한 알고리즘이 다양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문제를 푸는데 정답이 없기 때문에 다양한 알고리즘 중에서 어느 알고리즘이 더 좋은지 분석하고 적합한 알고리즘을 적용해서 복잡도를 낮추는게 관건이다. 알고리즘 복잡도 계산 항목은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로 구성되는데, 시간 복잡도는 알고리즘의 실행 속도이고, 공간 복잡도는 알고리즘이 상용하는 메모리 사이즈를 의미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시간 복잡도인데, 하드웨어의 발전으로 공간에 대한 제약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가장 빠르게 실행..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일차 [강의] 다음은 패스트 캠퍼스 알고리즘 / 기술면접 완전 정복 올인원 패키지를 통해 학습 및 정리한 내용입니다. 강의 소개 이번에도 패스트 캠퍼스 챌린지가 있어 신청해보았다! 지난 번과는 다르게 50일 챌린지로 기간이 좀 길었지만 1일 1코테로 CS 학습 겸 코딩 테스트를 준비하고 있어 이번 챌린지는 알고리즘 강의로 선택해 진행했다. 총 분량은 42시간인데 자료 구조 및 알고리즘에 대한 기초 학습, 문제 풀이를 통한 접근방식에 대한 이해 등 문제를 풀기 위해 어떻게 구조화하고 어떤 전략을 취해야하는지 기술 면접 준비 내용과 함께 구성되어 기초부터 심화까지 알차게 구성되어있었다. 강사님은 이준희, 나동빈, 안수빈 강사님이시다. 현재 유튜브나 각종 커뮤니티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하시고 좋은 자료도 많이 공유해주.. 이전 1 ···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