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다음은 패스트 캠퍼스 DevOps 운영 패키지를 통해 학습 및 정리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쿠키와 동작 방식
2. 세션과 동작 방식
3. Django user 기능 추가
쿠키와 동작 방식
쿠키는 브라우저에 저장되있는 정보로, 유효 시간이 정해져 있고 시간이 지나지 않는다면 브라우저를 끄더라도 유지가 되어진다. 이는 클라이언트에 저장되는 정보이므로 민감하지 않는 데이터만 쿠키 값에 저장되어진다.
동작 방식은 클라이언트가 페이지를 요청하면 서버에서 쿠키를 생성하고, HTTP 헤더에 쿠키를 포함 시켜 응답한다. 이때 같은 요청을 할 경우에는 HTTP 헤더에 쿠키를 함께 보낸다.
세션과 동작 방식
세션은 사용자별로 민감하고 중요한 정보를 쿠키 대신 저장하고 이때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해 세션 ID를 부여한다. 쿠키보다 보안이 좋으나, 사용자가 많아지면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느려진다.
동작 방식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할 때 세션 ID를 발급받고, 클라이언트는 세션 ID에 대해 쿠키를 사용해서 저장하고 갖고 있는다. 만약 서버에 요청이 필요하다면 클라이언트는 쿠키의 세션 ID를 서버에 전달해서 사용하고, 서버는 세션 ID를 전달받아서 세션에 있는 클라이언트 정보를 가져와서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한다.
Django user 기능 추가
쿠키 및 세션 기능 구현을 위해 기존 어플리케이션에 user를 추가하였다. 오늘 구현된 기능은 rest api로 이름과 유형을 구분해서 insomnia를 통해 JSON 형태의 키와 밸류값을 POST하여 입력할 수 있게 만들었다.
수강료 100% 환급 챌린지 | 패스트캠퍼스
딱 5일간 진행되는 환급챌린지로 수강료 100% 환급받으세요! 더 늦기전에 자기계발 막차 탑승!
fastcampus.co.kr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DevOps >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7일차 (0) | 2021.11.27 |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6일차 (0) | 2021.11.26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4일차 (0) | 2021.11.24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3일차 (0) | 2021.11.23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2일차 (0) | 2021.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