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Ops/Cloud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4일차

[강의] 다음은 패스트 캠퍼스 DevOps 운영 패키지를 통해 학습 및 정리한 내용입니다.

 

11월 24일 강의

 

AWS Route53를 통해 도메인을 등록하였다. 평균 3일이 소요된다고 하기 때문에 등록되기 전까지 우선 강의만 들어야겠다.

 

목차

1. AWS Route53 http 설정

 

AWS Route53 http 설정

도메인을 http 설정하기 위해서는 Route53 대시보드 하단의 호스팅 영역에서 설정을 해줘야한다. 호스팅 영역에서 등록된 도메인에 들어가게되면 레코드에 NS, SOA(Start of authority record)로 등록되어져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NS는 Name Server로, 컴퓨터 주소가 Internet Protocol(IP)라고 불리는 숫자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를 도메인과 연결시켜 도메인 이름으로 접속할 수 있게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SOA는 Start of authority record로, 도메인 영역에 대한 권한을 나타내는 레코드로써 현재의 NS가 도메인 영역에 대한 관리 주체임을 의미한다.

 

AWS에서 도메인을 구매했을 때 자동으로 설정이 되어진다고 한다.(국내 도메인 업체의 경우 따로 설정해야하는 경우가 있어 사전에 알아보면 좋을 것 같다.) 만약 기존에 구매했던 도메인이 있다면, 호스팅 영역 생성과 레코드 생성을 통해 NS, SOA를 등록하면 된다.

 

만약 등록된 도메인을 AWS EC2에 연결하고 싶다면 레코드 영역을 추가로 생성해 해당 인스턴스의 IPv4의 주소를 불러와 포트 번호 지정과 함께 값을 넣어주고 레코드 유형 A로 지정하면 되고, 별칭 기능을 통해 엔드포인트를 선택해서 설정해줄 수 있다.

 

https://bit.ly/3FVdhDa

 

수강료 100% 환급 챌린지 | 패스트캠퍼스

딱 5일간 진행되는 환급챌린지로 수강료 100% 환급받으세요! 더 늦기전에 자기계발 막차 탑승!

fastcampus.co.kr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