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디] 모두의 연구소 인프라 운영 따라잡기, 다음은 해당 스터디를 통해 학습 및 정리한 내용입니다.
개념정리
1. Xeon 프로세서 종류 및 특성
제온은 서버와 워크스테이션용 인텔 x86 CPU의 브랜드명이다. 크게 4가지 모델로 구성되며 4자리 숫자로 분류한다.
단종된 제품군
E3 시리즈 : 가장 하위모델로 싱글 소켓 서버와 개인용 워크스테이션을 위한 제품이다. 사실 E3의 가장 큰 특징은 순수한 제온 프로세서가 아니란 것이다. 일반 PC용 프로세서인 코어 i 시리즈에서 내장 그래픽 프로세서를 제거하고, 대신 서버와 워크스테이션을 위한 기능 일부를 추가했다.
E5 시리즈 : 중급 모델로, 가장 많이 판매되는 제품이다. 중대형 서버와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위한 프로세서다. 실제로 대부분의 서버는 제온 E5를 활용해 제작되며,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에 가장 많이 공급되는 모델이기도 하다. 싱글 또는 듀얼소켓을 지원한다.
E7 시리즈 : 최고급 모델이다. 시중에 존재하는 단일 프로세서 가운데 최고의 성능을 자랑한다. 미션크리티컬, 슈퍼컴퓨터, 대용량 컴퓨팅을 위한 스케일업 등에 활용된다. 하나의 보드에 최대 8개의 프로세서를 연결해 병렬 컴퓨팅을 구성할 수 있다. 기업이 대량으로 구매를 원할 때에만 인텔이 특별 공급하고 있다.
현행 제품군
스케일러블 시리즈 : 다중 소켓이 특징으로 인텔이 상위 모델 제품군인 E5와 E7 2가지를 Purley 플랫폼으로 묶고 스케일러블이라는 이름을 달아 제온 플래티넘, 제온 골드, 제온 실버, 제온 브론즈로 구분해 놨다. 실버, 브론즈는 최대 소켓 2개 중간급인 골드는 4개, 이전에 E7에 해당되는 플래티넘 프로세서의 경우 보드 한 개에다가 최대 8개까지 장착 가능하다.
E-2000 시리즈 : E3 시리즈를 계승하는 제품군. 다른 점이 있을 법 하지만, 소켓도 6세대, 7세대 코어 i 시리즈와 같은 소켓이었던 E3 v5, v6처럼 8세대 코어 i 시리즈와 같은 LGA 1151 리비전 소켓이 사용되는데다 내부 특성도 코어 i 시리즈와 E3 시리즈의 관계와 똑같다.
W 시리즈: 2017년 8월부터 출시된 1소켓 전용의 워크스테이션용 제품군. 2020년 5월부터는 코어 i 시리즈와 같은 소켓의 W-1000 시리즈까지 출시되면서, 기존의 E 시리즈를 대체했다.
D 시리즈 : 저전력 서버를 구축하길 원하는 기업을 위한 모델이다. 아톰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제작되어 전력 소모량이 적고, 병렬 컴퓨팅을 통해 만족할 만한 성능을 낸다.
2. DELL EMC R640 vs R740 비교(각 항목별 차이와 용어들을 기준으로)
섀시 구성
제품 사양
특징 비교
드라이브 베이 : R640은 전면 및 후변 베이 구성, R740은 전면 베이로 구성되어있다. 각 형태별로 사양은 다음과 같다.
R640
전면 : 최대 10 x 2.5" SAS/SATA (HDD/SSD), NVMe SSD 최대 8개 지원 또는 최대 4 x 3.5" SAS/SATA HDD
후면 : 최대 2 x 2.5" SAS/SATA (HDD/SSD), NVMe SSD DVD-ROM, DVD+RW 옵션
R740
전면 : 최대 16 x 2.5" SAS/SATA 또는 최대 8 x 3.5" SAS/SATA DVD-ROM, DVD+RW 옵션
GPU 옵션 : R740만 기능 제공
R640
사용 불가
R740
Nvidia Tesla V100, T4 / Nvidia Grid M10, P4 / Quadro P4000 / AMD S7150, S7150X2
IO 및 포트 : 전면 포트, 비디오 카드, 라이저 옵션에 대한 사양이 다름
R640
네트워크 도터카드 옵션 : 4 x 1GE 또는 2 x 10GE + 2 x 1GE 또는 4 x 10GE 또는 2 x 25GE
전면 포트 : VGA 포트, 1 x USB 2.0 포트 (USB 3.0 지원 가능), iDRAC 전용 USB 포트
후면 포트 : VGA 포트, 시리얼 포트, 2 x USB 3.0 포트, iDRAC 전용 네트워크 포트
비디오 카드 : 내장 VGA, NVIDIA NVS 310 PCIe 카드 옵션
라이저 옵션 : 최대 3개의 PCIe Gen3 슬롯 (전체 x16 슬롯)
R740
네트워크 도터카드 옵션 : 위와 동일
전면 포트 : VGA 포트, 2 x USB 2.0 포트 (USB 3.0 지원 가능), iDRAC 전용 마이크로 USB 포트
후면 포트 : 위와 동일
비디오 카드 : 내장 VGA
라이저 옵션 : 최대 8개의 PCIe Gen3 슬롯 (최대 4개의 x16 슬롯)
전원 : R740에 예비화 지원 핫플러그 팬 옵션 추가
R640
Titanium 750W, Platinum 495W, 750W, 1100W, 1600W 선택 가능 48VDC 1100W, 380HVDC 1100W, 240HVDC 750W / 완전한 예비화 지원 핫 플러그 파워 서플라이 옵션
R740
Titanium 750W, Platinum 495W, 750W, 1100W, 1600W 또는 2000W 선택 가능 48VDC 1100W, 380HVDC 1100W, 240HVDC 750W / 완전한 예비화 지원 핫 플러그 파워 서플라이 옵션 / 최대 6개의 완전한 예비화 지원 핫플러그 팬 옵션
폼팩터/베젤 : 종류별 랙 타입이 다름
R640
랙 타입 (1U, 최대 깊이 705.05mm) / LCD 베젤 또는 보안 베젤 선택 옵션
R740
랙 타입 (2U, 최대 깊이 715.5mm) / LCD 베젤 또는 보안 베젤 선택 옵션
그 외 기능상 동일
3. Xeon Gold5115 프로세서의 캐시구조 살펴보기
13.75 MB L3 Cache
참고자료
https://ko.wikipedia.org/wiki/%EC%A0%9C%EC%98%A8
https://namu.wiki/w/%EC%9D%B8%ED%85%94%20%EC%A0%9C%EC%98%A8%20%EC%8B%9C%EB%A6%AC%EC%A6%88
https://www.kolonbenit.com/uploadfiles/edm/partner_newsletter/202102/brochure/02_brochure.pdf
'DevOp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프라 운영 4주차] ContextSwitching, HTTP, EAMS, 하이퍼 스레딩 (0) | 2021.11.03 |
---|---|
[인프라 운영 2주차] 스위치, RAID, 페일오버 그리고 페일백 (0) | 2021.10.25 |
[인프라 운영 1주차] 클라우드 서비스와 데이터 스토리지 (0) | 2021.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