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디] 모두의 연구소 인프라 운영 따라잡기, 다음은 해당 스터디를 통해 학습 및 정리한 내용입니다.
개념정리
1. 클라우드 컴퓨팅
사용자의 직접적인 활발한 관리 없이 특히, 데이터 스토리지(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컴퓨팅 파워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 리소스를 필요 시 바로 제공(on-demand availability)하는 것을 말한다.
2. 클라우드
인터넷과 연결된 메인 컴퓨터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웹에 접속했을 때 언제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저장되는 그 공간 자체를 의미한다.
3. 클라우드 워크로드
클라우드 리소스에서 실행할 수 있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기능 또는 특정한 작업량입니다. 가상 머신, 데이터베이스, 컨테이너, Hadoop 노드 및 애플리케이션이 모두 클라우드 워크로드로 간주한다.
4. 클라우드 배포모델(Deployment Model)
클라우드 서비스를 배포하는 방식이다.
Public Cloud : 외부에 Cloud 존재, 불특정 기관 및 기업 사용
- Cloud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 누구든지 사용
- 누구나 사용한 만큼 비용만 지불하면 됨
- Cloud 사업자가 IT 자원을 서비스로 제공
Private Cloud : 내부에 Cloud 존재, 특정 기관 및 기업 사용
- 기업 및 기관 내부에서만 사용 가능한 Cloud Computing 환경을 구축
- 해당 기업 및 기관에 속하지 않은 사람은 사용불가
- 구축 난이도 높지만, 보안 및 법적 규제 등의 이유로 사용
Hybrid Cloud : 내외부에 Cloud 존재, 혼합 사용
- Public Cloud/Private Cloud를 조합해서 사용
- 보안이 중요한 시스템은 Private Cloud, 그 외 시스템은 Public Cloud를 사용
- Private Cloud를 주로 사용하되 트래픽 과부하에 따라 Public Cloud 확장
- 다양한 시나리오가 존재하여 최근 기업들이 가장 관심갖고 있음
Community Cloud : 외부에 Cloud 존재, 한정된 기관 및 기업 사용
5.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Service Model)
타사 제공업체가 호스팅하여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프라, 플랫폼 또는 소프트웨어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IT의 기본 자원만 제공
- 새로 컴퓨터 하나 구매하는 개념
- Server, Storage, Network
Platform as a Service : 일반적으로 개발자를 대상으로 함
- IaaS에 OS, Middeware, Runtime 추가
- 개념의 범위가 가장 넓음
- 코드 개발만 해서 올릴 수 있는 상태
- AWS Elastic Beanstalk, Google App Engine
Software as a Service : 모든 기능이 동작하는 SW를 제공
- 네이버 클라우드, 구글 드라이브, 구글 캘린더 등
6. 네트워크 스토리지
컴퓨터 네트워크가 보급되기 전 데이터 저장은 개인 PC의 하드 디스크에 저장했다. 현재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초당 기가바이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시대가 됨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들이 접근하여 데이터 저장, 복사 등 디스크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었고 이러한 작업을 할 수 있는 저장장치를 네트워크 스토리지라 한다.
DAS(Direct Attached Storage)
- 데이터 서버와 외장형 저장장치를 전용 케이블로 직접 접속하는 방법
- 서버가 채널(SCSI 또는 Fiber Channel)을 통해 저장 장치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
- 서버에 직접 외장 저장 장치를 추가하므로 속도는 빠르고 확장이 쉽지만 연결 수에 한계가 있다.
- 각 서버는 자신이 직접 파일 시스템을 관리한다.
SAN(Storage Area Network)
- 서버와 저장 장치를 전용 네트워크(Fiber Channel)로 연결한 고속 데이터 네트워크
- 저장 장치를 향상시켜 장치가 로컬 연결 장치로 서버의 운영체제에 표시되게 한다.
- SAN 구성에 확장성, 유연성, 가용성이 우수하다.
NAS(Network Attached Storage)
- LAN을 통해 Storage와 Server를 접속하는 방식
- 일반 서버와 파일 서버 사이 TCP/IP 기반으로 LAN에 접속되고 파일 서버와 Storage 사이에는 SCSI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SCSI 또는 Fiber Channel 접속이 된다.
용어정리
추후 업데이트 예정
참고자료
1.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oY8Tc5OQ-JI
https://www.youtube.com/watch?v=Nq5JHAW8XYQ
https://www.youtube.com/watch?v=IAVFL-UDlSs
2. 웹
https://ko.wikipedia.org/wiki/%ED%81%B4%EB%9D%BC%EC%9A%B0%EB%93%9C_%EC%BB%B4%ED%93%A8%ED%8C%85
https://www.redhat.com/ko/topics/cloud-computing/what-are-cloud-services
https://domashand.tistory.com/116
'DevOp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프라 운영 4주차] ContextSwitching, HTTP, EAMS, 하이퍼 스레딩 (0) | 2021.11.03 |
---|---|
[인프라 운영 3주차] Xeon 프로세서, DELL EMC, 캐시 구조 (0) | 2021.10.27 |
[인프라 운영 2주차] 스위치, RAID, 페일오버 그리고 페일백 (0) | 2021.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