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Algorithm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3일차

[강의] 다음은 패스트 캠퍼스 알고리즘 / 기술면접 완전 정복 올인원 패키지를 통해 학습 및 정리한 내용입니다.

 

2월 15일 오늘의 강의

 

오늘은 기본 자료구조와 관련된 핵심 유형 문제풀이를 진행했다. 강의가 있었지만 스스로 풀어보는 게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해서 강의를 듣기 전 직접 문제를 풀어보았고, 헷갈리는 부분만 강의를 참고하였다. 문제 유형은 큐, 스택, 그리디로 총 세 문제였는데 자료구조에 대한 개념은 알고있었음에도 문제를 해석하고 적용하는 과정에서 꽤나 어려움이 따랐다.

 

 

백준 - 1874번 문제
백준 - 1966번 문제
백준 - 5397번 문제

 

그럼에도 자료 구조에 대한 개념이 이해가 되어있는 상태여서 구조를 그려가며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었다. 예전에는 무턱대고 문제를 풀면서 의식의 흐름대로 작성했었는데 유형별로 풀이를 하니 조금 더 수월하게 문제 풀이를 할 수 있었다. 물론 유형별 문제 풀이를 하게 될 경우 고정관념이 생겨 특정 자료구조와 알고리즘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챌린지 기간에 한해서만 유형별로 숙달을 하고 어느정도 구현에 익숙해졌다 싶을 때 여러가지 문제를 접해볼 예정이다.

 

 

삽질 그리고 삽질

 

문제를 풀면서 시간이 오래 걸렸던 것은 런타임 에러이다. 백준 문제에서는 예시로 테스트 케이스가 나오지만 일부분이기 때문에 본인이 여러가지로 생각해봐야하고 채점 과정에서도 런타임 에러가 발생하면 어떤 부분에서 발생했는지 나오지 않기 때문에 에러를 잡기 위해서는 다방면의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나는 런타임 에러가 많이 발생하는 편인데 코드가 의식의 흐름을 따라가기 시작할 때부터, 그래서 걷잡을 수 없이 코드가 길어지게 됐을 때 어김없이 런타임 에러가 발생한다.

 

내일은 문제 풀이와 함께 런타임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해서 공부해봐야겠다.

 

 

https://bit.ly/37BpXiC

 

 

패스트캠퍼스 [직장인 실무교육]

fastcampus.co.kr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