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Algorithm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4일차

신웅철 2022. 2. 6. 23:11

[강의] 다음은 패스트 캠퍼스 알고리즘 / 기술면접 완전 정복 올인원 패키지를 통해 학습 및 정리한 내용입니다.

 

2월 6일 오늘의 강의

알고리즘 연습방법

알고리즘을 익히기 위해서는 잘 작성된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스스로 만들어 봐야한다. 이를 위해 강의에서 추천하는 연습 방법은 다음과 같다.

 

출처 : 나무위키(https://namu.wiki/w/%EC%9D%98%EC%82%AC%EC%BD%94%EB%93%9C)

 

1. 연습장과 펜을 이용한다.

2. 알고리즘 문제를 읽고 분석해서, 간단한 경우에서 복잡한 경우로 순서대로 생각한다.

3. 가능한 알고리즘이라면 구현할 알고리즘을 세부 항목으로 나눈다.

4. 데이터 구조나 사용할 변수를 정리하고 코드화한다.

5. 각 문장을 코드 레벨로 적는다.

6. 데이터 구조나 사용할 변수가 어떻게 변하는지 적으면서, 임의 데이터로 코드가 정상 동작하는지 검증한다.

 

글로는 와닿지 않아 참고할만한 영상을 찾아봤다.

https://www.youtube.com/watch?v=a9PoVAau3yU 

 

그리고 참고할 블로그도 가져와봤다.

https://seagull-dev.tistory.com/9

 

버블 정렬(bubble sort)

정렬이란 어떤 데이터들이 주어질 경우, 정해진 순서대로 나열하는 것이다. 이는 다양한 알고리즘으로 고안된 것으로 알고리즘 학습이 필수라고 한다.

 

버블 정렬이란, 정렬하는 방법에서도 두 인접한 데이터를 비교해서 앞과 뒤의 데이터를 비교해서 자리를 바꾸는 정렬 알고리즘이다.

 

아주 사투 중이다

 

강의에서 구현한 알고리즘를 참고해서, 데이터가 2개인 경우에서부터 3개, 4개 등 복잡한 경우까지 고려해봤다. 다양한 경우의 수가 나오는데 이를 수도 코드로 작성해서 코드를 개선해나가는 것이 관건이다. 나는 이미 알고리즘을 구현한 코드를 보고 왔기 때문에 쉽게 할 수 있었는데, 익숙해진다면 알고리즘 학습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https://bit.ly/37BpXiC

 

패스트캠퍼스 [직장인 실무교육]

fastcampus.co.kr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