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캠퍼스 챌린지 23일차
[강의] 다음은 패스트 캠퍼스 DevOps 운영 패키지를 통해 학습 및 정리한 내용입니다.
목차
1. ALB 인스턴스 분기 설정(ALB Rule)
2. AWS Route53 및 DNS 동작원리
ALB 인스턴스 분기 설정(ALB Rule)
앞서 로드밸런싱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오는 요청을 여러 서버에 분배해주는 기능이라고 했다. ALB Rule은 로드밸런싱에 규칙을 정하는 것으로, 접속하는 주소에 따라 해당 타겟 그룹으로 분배해주는 기능이다.
하지만 자칫하면 서버에 분배되어 접속되어지기 때문에 최초 로그인한 서버와 이후 접속하게 된 서버가 다를 경우 세션이 적용이 되지 않아 다시 로그인을 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Sticky Session 기능이 적용되어지는데 이는 클라이언트의 세션이 적용되어질 경우 해당 서버가 아닌 로드밸런서에 적용되어 어떠한 서버에도 접속가능하게 된다.
AWS Route53 및 DNS 동작원리
도메인을 등록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자. 등록자가 특정 도메인을 등록하고 싶을 때, 등록 대행자(DNS server)에게 신청을 하고 등록소(Top level domain)에 등록되면 최종적으로 ICANN(Root name server)를 거쳐 도메인이 등록되어진다. 여기서 Route53은 등록 대행자 역할을 한다.
Route53에 접속하면 처음 도메인 이름을 선택하는 화면이 나오고, 원하는 이름을 작성하면 이후로 개인 정보를 입력하게되면 신청이 완료된다. 도메인 등록시 3일이 소요된다고 한다.
수강료 100% 환급 챌린지 | 패스트캠퍼스
딱 5일간 진행되는 환급챌린지로 수강료 100% 환급받으세요! 더 늦기전에 자기계발 막차 탑승!
fastcampus.co.kr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